--
-
modern javascript복습/20201218(금)-- 2020. 12. 18. 11:55
화살표함수의 특징 일단 함수가 호출되면 3가지가 정해지는데 1.스택에 변수객체 2.소코프체인 3.this 에 바인딩할 객체 2번은 생성시 기준으로 정해져서 이게 클로저의 의미이기도 하다 1번은 자연스러운 내용이고 3번은 함수 호출 방법에 따라서 바뀌게 되는데 그중에서 화살표함수 사용시에는 this에 따로 바인딩할 객체가 정해지지않는다.(window를 가리킴) 따라서 call bind apply 역시 사용할수없다. this 의 특징 어떠한 상황에서 해당함수가 호출이 되는가에 따라서 그함수가 바인딩한 객체가 this 가 되는데 1.메서드로 사용되는경우 해당객체를 가리키고 2.그냥함수로 사용되면 window 3.new 키워드를 사용해서 생성자 함수로 호출된다면 생성된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4.call 이나 a..
-
20201203 (목)-- 2020. 12. 3. 21:22
오늘새로웠던거 : 객체의 길이는 Object.keys(obj).length 를 이용해 알아낼수잇다. 오늘 느낀점 : 변수를 적재적소에 잘 만들자 오늘 학습한거 : stack queue 내일 학습할꺼 : linked list ,hashtable 구현 이번주내에 해야할일 : 이번주에 배운 개념들이 다소 헤깔리는 개념이 들어가 있는거 같다. 뭔가 느낌적으로는 어떻게 사용하는줄 알겠는데 명확하게 아는 느낌 이랄까 이런건 아닌거 같다 그래서 코안스 내용//이랑 this// bind// es6문법 을 복습하고 같이 class 공부하고 남는 시간에는 유튜브보면서 돔이랑 css 조작이 손에 익을수 있게 틈틈히 따라해보는거? 내가 부족한점 : 공식문서보다는 활용 되는 영상이나 블로그가 편함 근데 아직은 편한대로 하는게 ..
-
20201129(일)-- 2020. 11. 29. 23:16
프리코스이후 솔로데이를 마치고 내일 부터는 이머시브 코스가 시작이다. 그동안의 회고와 앞으로의 다짐을 간략히 적어보고 자려고 한다. 1.프리코스 2.솔로데이 3이머시브 이순서로 적어보자 1. 학습을 따라가는 과정속에서 생활적인 측면이 많이 무너진것이 좀 아쉽다. 학습자체가 너무 어렵다는 느낌보다는 해야할것들이 밀려오는 과정에서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졋고 그로인해 학습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졌다. 학습자체에 강하게 집중을 해나가고 추가로 공부를 더해서 생활에 영향을 줬다기 보다는 느슨한 집중으로 일과시간을 보내고 이후의 시간에 추가로 공부하는 습관이 생활에 좋지 않은영향을 끼쳣고 그로인해 악순환이 생겼다. 학습내용적으로는 클로저에 대한 부분이랑 컴퓨터입장에서 변수나 함수의 선언 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
-
20201123(월)-- 2020. 11. 23. 22:58
새로웠던거 1.값이 변해가야하는데 하나로 부족하면 배열에 담아서 추가하는 식으로 생각한다. 2.다양한 정보일때는 배열을 개체로 변환해준다. 3.클로저의 개념은 알겠는데 활용을 위해 쓰는게 어렵구나 namespace 와 function factory 의 역할을 많이 따라해보자 4.내일할일을 3개이상 적지 말자 어차피 오늘 ㅎ해야할게 업데이트 되는 상황에서 내일 할일을 다할수는 없으니까 너무 쌓이기만 하고 의욕적으로도 않좋은듯 하다 내일할일 1.객체지향언어 생활코딩 듣기 2.이머시브스프린드 스캔하기 3.책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