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응형
background:
linear-gradient(
90deg,
rgb(255, 255, 255) 0%,
rgb(255, 255, 255) 100%
);
position:sticky
z-index:999
justify-self: start
justify-content:end
grid-gap:1px
기획순서 : 성향파악 > 아이디어브레인스토밍 > 아이디어 결정 > 페이지회의 > 페이지브레인 스토밍 > 1차와이어프레임 > 프로토타입작성 , 스키마테이블 작성 , api 문서작성, 기능플로우 작성 > 최종프로토타입작성 > 2차 와이어프레임 작성 > app.js 생성및 헤더 풋터 작업 > 기본 app.js 구성 > 세부일정 분리 > skeleton 코드 page 별 작성 > page별 basic_css > axios 작업 > advanced css > bug
<section className="recommandation__container">
<Recommandation />
</section>
우리동네 숨은 고수를 <br />
소개해 드립니다
<input
type="search"
placeholder="어떤 분야의 전문가를 찾으시나요?"
className="form__control"
autoComplete="off"
/>
line-height: 1.5;
padding: 1rem 1.25rem;
-webkit-animation-duration: 1s;
animation-duration: 1s;
-webkit-animation-fill-mode: both;
animation-fill-mode: both;
transform: translate3d(0, -100%, 0);
일반 X Y와 X > Y의 차이점은 후자가 직계 자식만을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가령, 아래 마크업을 생각해 보세요.
ul + p {
color: red;
}
인접 선택자로 부르는 선택자입니다. 앞의 요소 바로 뒤에 있는 요소만 선택합니다. 위 코드에서 각 ul 뒤에 오는 첫 번째 단락의 텍스트만 빨간색이 됩니다.
before과 after 가상 클래스는 매우 효과적입니다. 사람들이 늘 이 두 클래스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새롭고 창의적인 방법을 찾고 있는 듯합니다. 이 클래스는 선택된 요소 주변에 콘텐츠를 생성합니다.
많은 사람이 clear-fix 핵을 접했을 때 이 클래스를 맨 먼저 도입했었습니다.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clearfix:after {
content: "";
display: block;
clear: both;
visibility: hidden;
font-size: 0;
height: 0;
}
.clearfix {
*display: inline-block;
_height: 1%;
}
line-height: 32x;
width: calc(100% + 10px);
box-shadow: 0 14px 28px rgba(0, 0, 0, 0.25), 0 10px 10px rgba(0, 0, 0, 0.22);
justifySelf: "flex-start",
object-fit: fill;
word-wrap: break-word;
flex-wrap: wrap;
animation: slideshow 9s linear infinite;
.advertise_wrapper::before,
.advertise_wrapper::after {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white 20%, rgba(255, 255, 255, 0) 100%);
content: "";
height: 4.8rem;
position: absolute;
width: 20%;
z-index: 2;
}
transform: rotateZ(180deg);
const refReview = useRef(null);
window.scrollTo(0, refName.current.offsetTop - 100);
<h2 ref={refProfile}>기본정보</h2>
.introduction_container .MuiSvgIcon-root {
position: relative;
top: 5px;
left: -8px;
}
.comment_info span:nth-child(2)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ss]if 문 사용해보기 (0) 2021.05.17 [sass] 중복되는 값 재사용 하기 (mixin,extend) (0) 2021.05.14 [sass] 사스공부해보기 nesting (0) 2021.05.14 [sass] sass 컴파일러로 css 파일 만들어보기 (0) 2021.05.13 css-in-js 란 무엇인가 ? (0) 2021.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