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오늘 의 참고 블로그--- 2021. 3. 4. 22:21
footprint-of-nawin.tistory.com/71 Axios GET요청에는 Body가 없다 "Axios GET요청에는 Body가 없다" 아주 기본적이지만 그 기본적인 것을 몰라 헤맸었다.. 자꾸 서버에서 [org.springframework.http.converter.HttpMessageNotReadableException: Required request body is missing.. footprint-of-nawin.tistory.com www.daleseo.com/react-router-nested/ React Router로 중첩 라우팅 하기 Engineering Blog by Dale Seo www.daleseo.com
-
카카오 api 지도 쓰면서 에러 및 새로운거기타 2021. 3. 4. 01:04
리액트랑 같이 쓰다보니가 생성되기 이전의 element 에 코드가 끼워 있는 경우 의 에러가 있었고 예외처리를 2번째 인자에서 처리를 하는지 확인안하고 밖에서 처리하다가 geolocation 부분헤멧다. flex-direction: column-reverse; michalsnik.github.io/aos/ 불러오는 중입니다... npm install styled component 중첩 라우팅 www.daleseo.com/react-router-nested/
-
csscss 2021. 3. 2. 07:55
background: linear-gradient( 90deg, rgb(255, 255, 255) 0%, rgb(255, 255, 255) 100% ); position:sticky z-index:999 justify-self: start justify-content:end grid-gap:1px 기획순서 : 성향파악 > 아이디어브레인스토밍 > 아이디어 결정 > 페이지회의 > 페이지브레인 스토밍 > 1차와이어프레임 > 프로토타입작성 , 스키마테이블 작성 , api 문서작성, 기능플로우 작성 > 최종프로토타입작성 > 2차 와이어프레임 작성 > app.js 생성및 헤더 풋터 작업 > 기본 app.js 구성 > 세부일정 분리 > skeleton 코드 page 별 작성 > page별 basic_css > axi..
-
4주 프로젝트(fineapple) 2주차 회고--- 2021. 2. 28. 22:20
4주 프로젝트를 시작한지 2주가 지났다. 처음에 팀원을 만나고 팀장선출, 아이디어 회의 , 팀원 성향 파악, 기획 을 진행해 나갔다. 2주프로젝트 이후에 느꼇던 점 이 첫주의 중요성 이였던 만큼 알차게 준비하려고 노력했다. 무었보다도 팀장으로 만나게된 분이 일처리를 너무 잘하셔서 놀라기도 하고 느낀점도 많다. 2주프로젝트할대 계획했던거 만큼 마무리를 하지못해서 프로젝트 완성 시키는 것이 첫번재 우선순위였다. 그런데 회의를 할수록 해야할게 너무 많아지는 느낌이였다. ㄷㄷ 팀원들한테 많이 배우면서 기획단계가 지나갔다. 피그마를 사용하는 방법부터 기획에 있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보는것은 처음 해보는 작업이였다. 이후 와이어프레임을 그리기도 수월했고 각페이지에 대한 서로의 생각도 분명해졌고 동기화가 되는 느낌..
-
2주 프로젝트 dinnershow 마무리 회고--- 2021. 2. 15. 09:29
https://www.dinnershow.org React App www.dinnershow.org 회고를 하려고 되돌아 보니 2주 이렇게 빠르구나 싶다. 나이먹으면서 시간이 점점 빨리가는거 처럼 느껴지는게 할일이 많아지면 빠르게 느껴지는 거구나 싶다.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상황에서는 아이디어를 선정하고 그 아이디어를 문서화 하는 작업을 진행 하였다. 협업을 할때에는 서로의 머리속이 같은 상태가 아니고 매번 이야기를 통해서 생각을 동기화 할수 없기 때문에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너무 번거롭게 느껴졌던게 사실이다. ㅎㅎㅎ 그래도 마무리된 문서화 자료들을 살펴보니 나름 뿌듯 하기도 하고 든든한 느낌이였다.ㅋㅋㅋ 이제 코드만 작성하면 되겠군 ... 막상 코드를 작성하면서 보니 초반기획단계가 부실함..
-
2주 프로젝트 배포과정(하)--- 2021. 2. 9. 15:54
1. 도메인 구입 > route53 을 이용해 원하는 형태의 도메인을 구입한다.(유료) 2.aws 에서는 인증서를 무료로 발급을 해준다. 그러나 도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 dns 검증을 통해 발급받을수 있엇다. 3.route 53 에서 호스팅영역으로 들어가면 레코드를 생성해주는 페이진데 >이부분이 하는역할을 도메인을 지정해주면 어떤페이지로 이동을 하는지를 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4.레코드 생성은 기본으로 두개가 되어있다 > 이후 레코드 두개가 더필요한데 하나는 원하는 도메인네임을 지정하고 그것이 cloudfront.net 으로 이동하게 하는 레코드와 인증서의 키와 밸류로 생성된 레코드이다. 그중에서 인증서의 라우팅대상을 원하는 cloudfront id 로 지정을 해야한다. s3로 해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
-
2주 프로젝트 배포과정(상)--- 2021. 2. 9. 14:35
1. aws 의 s3 에 파일을 업로드 하였다. >>파일을 업로드한는 파일간의 경로문제가 있었다. >>정적파일을 업로드 할수있도록 이부분을 활성화 해줘야 했고 디폴트페이지 지정 권한부분에서는 버킷정책을 편집해주고 , 퍼블릭엑세스를 허용으로 바꿔주었다. 2.aws ec2 pem키를 생성한후 ssh 폴더에서 우분투(ec2)에 연결할수있었다. 필요한 노드버전과 npm 을 설치를 받고 이후에는 git clone 을 이용해서 서버폴더를 가져와서 pm2 로 서버를 실행시켜줬다. s3 클라이언트와 ec2 서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따로 해야할일은 클라이언트에서는 요청을 해당 ec2의 퍼블릭 Ip 로 설정해 주면 됬고 서버에서는 cors 설정을 해당 클라이언트 의 s3 엔드포인트로 설정을 해주었다. 또 해당 ec2 의 ..